그날의 이슈

만나이 통일법 시행 시기와 만나이 계산법

도서관장 쫑아 2023. 1. 4.

만나이 통일법의 시행 시기

2023년이 밝으면서 가장 많이 달라지는 점은 무엇일까요?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되는 것도 가장 크게 달라지는 점 중 하나일 것 같습니다. 주변에서 올해 서른이 되는 분들은 다시 20대가 시작되었다며 기뻐하고 있는데요. 과연 바로 한 살 어리게 적용하기만 하면 되는 것일까요? 지금부터 만 나이 통일법의 시행시기 및 올바른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나이세는 방법 무엇이 있을까?

일반적으로 나이를 세는 방법에는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 세는나이, 만 나이, 연나이입니다. 우리나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세는 나이이며  세계적으로는 만 나이를 대부분 사용하고 있습니다.

1. 세는 나이 : 태어난 연도부터 1살, 해가 바뀌면 1살을 더 먹는 계산 방법입니다.

계산방법은 현재 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뺀 후 1살을 더해주면 됩니다.

2. 연 나이 : 세는 나이와 동일하게 해가 바뀌면 1살을 더 먹지만, 태어난 순간 0살인 것이 차이점입니다.

계산방법은 현재 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빼면 됩니다.

3. 만 나이 : 태어나는 연도에는 0살로서,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생후 몇 개월이라고 표현하고 생일이 지나면서 1살씩 나이를 먹습니다.

 

만 나이 통일법 시행시기 및 계산법

최소 1살, 많게는 2살까지 어려지는 만 나이 통일법으로 인해 괜히 젊어지는 듯한 기분이 들어 설레는 분들도 많으실 것 같습니다. 그렇다면 과연, 만 나이 통일법은 언제 시행되는 것일까요?

만 나이 통일법은 2023년 6월 28일 부로 본격 시행됩니다. 고로, 아직까지는 작년 보다 한 살 더 먹은 상태로 살다가 6월 28일부터 1살 많게는 2살 어려진 나이로 지내면 될 것 같습니다.

만 나이 계산법이 헷갈리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은데요. 간단하게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 

반응형

 

1. 현재 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빼준다.
2. 생일이 지났다면 그대로 두고, 지나지 않았다면 1살을 빼준다.

ex) 1991년 1월 2일 생이 2023년 1월 1일이 되었다.
2023 - 1991 = 32 (생일이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1살 빼준다 → 32 - 1 =  31살)

ex2) 1991년 1월 2일 생이 2023년 1월 3일이 되었다.
2023 - 1991 = 32(생일이 지났기 때문에 그대로 둔다 = 32살)

 

그래도 만 나이가 헷갈리시는 분들은 포털 사이트에 만 나이 계산기를 검색하시면 편리하게 본인의 나이를 계산해보실 수 있으니 이용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.

댓글

💲 추천 글